한국인의 밥상에 빠질 수 없는 메뉴 중 하나인 제육볶음 레시피를 가져왔다. 지난번 기사식당 두부조림 포스팅에 이어 기사식당 스타일 제육볶음 레시피를 소개한다. 우리가 흔히 먹는 평범한 가정용 제육볶음보다 진하고 윤기가 좔좔 흐르는 양념으로 입에 착 감기는, 매콤달콤하지만 그렇게 달지 않아 밥에 툭 올려먹어도, 밥과 함께 쓱싹 비벼먹어도, 쌈에 싸먹어도, 그 어떤 방법으로 먹어도 입안에서 잘 어우러지는 기사식당 스타일 제육볶음 레시피라고 할 수 있다. 아래의 자세하게 설명된 순서에 따라 차근차근 만들어보면 요리 초심자도 한끼 뚝딱 해결할 수 있는 음식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재료
2~3인분 기준
(계량 : 밥 숟가락)
식용유 : 2숟가락
삼겹살 : 500g
양배추 : 1/5통
양파 : 1개
당근 : 1/5개
대파 : 1대
청양고추 : 2대
식용유 : 총 3숟가락 (2숟가락+1숟가락)
진간장 : 총 숟가락 (2숟가락+2숟가락)
설탕 : 1숟가락
다진마늘 : 1숟가락
고추장 : 1숟가락
고춧가루 : 3숟가락
물엿 : 1숟가락
굴소스 : 1숟가락
맛술 : 1숟가락
통깨 : 조금
[재료 준비]
1. 삼겹살 500g을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준비한다.
2. 양배추 1/5통을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준비한다.
3. 양파 1개를 채썰어 준비한다.
4. 당근 1/5개~1/4개를 얇게 채썰어 준비한다.
5. 대파 1대를 얇게 썰어 준비한다.
6. 청양고추 2개를 얇게 썰어 준비한다.
* 레시피에 적은 채소의 양보다 더 넣어도 된다! 그 외에 취향에 따라 집에 남아있는 채소를 한입크기로 썰어 준비해도 좋다. 팽이버섯, 새송이 버섯 등 각종 버섯이나 채소 강추!
[조리 과정]
1. 후라이팬에 식용유 2숟가락을 넣고 한입크기로 썰은 삼겹살 500g을 넣고 구어준다.
식용유 2숟가락을 넣는 것은 개인 취향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최대 2숟가락) 기름진 맛을 원치 않는 경우 또는 비계의 비중이 많은 삼겹살을 사용할 경우에는 식용유를 생략해도 된다. 다만 기름진 부위인 삼겹살 외에 목살이나 뒷다리살 등의 담백한 살코기 부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기가 팬에 눌어붙기 쉬우므로 식용유를 넣어주는 것을 권장한다. 기름이 본인 기준에 너무 많다 싶으면 뒤의 순서에서 고기를 뺄 때 기름을 제거해줘도 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2. 고기를 구울 때 설탕 1숟가락, 진간장 2숟가락을 넣어 고기를 코팅시키는 느낌으로 구어준다. 간장과 설탕이 타는 것을 막기 위해 숟가락으로 잘 저어가며 구어준다.
3. 고기가 다 익으면 고기를 따로 빼둔다.
4. 후라이팬에 식용유 1숟가락을 넣은 후 미리 썰어 준비해둔 양배추 1/5통, 양파 1개, 당근 1/5개를 넣는다.
5. 채소 위에 진간장 2숟가락을 넣고 간장의 색깔이 채소 전반에 코팅되도록 잘 볶아준다.
6. 양파가 반정도 투명해지면 따로 빼둔 구운 삼겹살 500g을 넣어준다.
7. 다진마늘 1숟가락, 고추장 1숟가락, 고춧가루 3숟가락, 물엿 1숟가락, 굴소스 1숟가락, 맛술 1숟가락을 넣고 양념이 잘 섞이도록 저어가며 볶아준다. 맛술 1숟가락은 선택사항이므로 소주 1숟가락으로 대체 가능하다. 소주와 맛술 둘 다 준비되어있지 않다면 진간장 1/2숟가락, 설탕 1/2숟가락을 추가로 넣어주면 된다. 고춧가루가 들어간 양념을 가열된 팬에 넣은 경우 고춧가루가 음식의 수분을 흡수하며 타기 쉬워지므로 타는 것에 주의하며 빠르게 볶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고기와 채소 모두 양념장을 넣기 전 다 익은 상태이므로 양념과 재료를 섞는다는 느낌으로 빠른 시간 안에 볶아준다.
8. 양념이 모든 재료와 어우러져 윤기나게 볶아졌으면 썰어둔 대파 1대와 청양고추 2개를 넣고 딱 10초간 한번 더 볶아준다.
9. 통깨를 뿌려 먹음직스럽게 마무리한다.
댓글 영역